[김국헌의 직필] 박정희 ‘국민교육헌장’과 박근혜 ‘교육대통령’
박정희는 1968년 12월5일 국민교육헌장을 공포하였다. “우리는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로 시작되는 국민교육헌장은 당시 모든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암송하였다. 국민교육헌장에 대해서는 당초 논란이 적지 않았다. 특히 박정희의 독재권력이 강화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나온 것이라 비판이 많았다. 당시 ‘한국의 칸트’로 불렸던 박종홍 교수는 헌장 제정에 참여하였다가 후학들로부터 “참여하시지 않았으면 좋았을 것을···” 하는 말을 들었다. 더욱 헌장은 일본의 교육칙어를 연원으로 한 것 같았기 때문에 비판을 받았다.
그런데 명치시대의 교육칙어가 어디에 뿌리를 두고 있는지 아는가? 여기에는 임진왜란 후 일본으로 건너간 퇴계학이 깊게 녹아 있다. 국민교육헌장은 우리 선인들의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근세서양의 교육철학을 포괄하고 있는 장전이다. 버릴 말이 하나도 없으며, 더할 말도 없다. 마치 기독교의 주기도문 같다. 우리들 후학들은 귀한 줄 알아야 한다.
같은 시기에 공포된 군인복무규율, 특히 강령은 박정희 시대 군인들의 지향을 담고 있다. 이병형 장군이 주관하고 이병도 이선근 박사 등이 참여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박정희 작품이라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군인복무규율은 일본의 군인칙유(軍人勅諭)가 전범이다. 군인칙유는 근대군대의 효시인 프러시아 군대 직업군인의 핵심을 계승한 위에 일본의 무사혼(武士魂)을 강조한 것이다. (군인복무규율은 10월유신 후 수정이 가해져서 정신이 훼손되고 다소 격이 떨어지는 감이 있으니 1968년 공포될 당시의 원본을 보아야 한다)
박정희는 국민교육헌장과 군인복무규율로써 국민과 군인의 정신적 근원을 확립하고자 했다. 산업화가 어느 정도 궤도에 올라선 마당에서 국민정신의 기본을 정립하고자 했던 것이다. 정신문화연구원의 설립도 같은 궤도에 선 것이다. 국가의 정통성을 확립하는 것이 박근혜 대통령의 역사적 책무라고 한다면 우선, 박정희의 정신을 잇는 ‘교육대통령’이 되어야 한다. 교육의 기본을 바로잡는 것이 필수적 과업이지만, 나아가 대한민국 건국의 의의와 헌법제정의 의미를 높이기 위해 1948년 8월 15일을 기점으로 한 건국절을 제정하여야 한다. 이 바탕위에 국민의 정신적 지표를 명확히 하기 위해 국민교육헌장을 통해 국민교육을 이끄는 교육대통령이 되어야 한다.
국민교육헌장을 되새겨 본다.
“우리는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 조상의 빛난 얼을 오늘에 되살려 안으로 자주독립의 자세를 확립하고, 밖으로 인류공영에 이바지할 때다.(중략) 성실한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학문과 기술을 배우고 익히며, 타고난 저마다의 소질을 계발하고 우리의 처지를 약진의 발판으로 삼아 창조의 힘과 개척의 정신을 기른다. 공익과 질서를 앞세우고 능률과 실질을 숭상하며 경애와 신의에 뿌리박은 상부상조의 전통을 이어받아 명랑하고 따뜻한 협동정신을 북돋운다.
우리의 창의와 협력을 바탕으로 나라가 발전하며, 나라의 융성이 나의 발전의 근본임을 깨달아 자유와 권리에 따르는 책임과 의무를 다하며 스스로 국가건설에 참여하고 봉사하는 국민정신을 드높인다.(중략) 길이 후손에 물려줄 영광된 통일 조국의 앞날을 내다보며 신념과 긍지를 지닌 근면한 국민으로서, 민족의 슬기를 모아 새 역사를 창조하자.”
대한민국의 ‘正統’ 대통령의 길을 여기서 찾길 바란다.
김국헌 : 군사평론가; 육사 28기, 국방부 군비통제관, 국방부 정책기획관 역임
**************************************************
국민교육헌장(國民敎育憲章)
우리는 민족(民族) 중흥(中興)의 역사적(歷史的) 사명(使命)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 조상(祖上)의 빛난 얼을 오늘에 되살려, 안으로 자주독립(自主獨立)의 자세(姿勢)를 확립(確立)하고, 밖으로 인류(人類) 공영(共榮)에 이바지할 때다. 이에, 우리의 나아갈 바를 밝혀 교육(敎育)의 지표(指標)로 삼는다.
성실(誠實)한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학문(學問)과 기술(技術)을 배우고 익히며, 타고난 저마다의 소질(素質)을 개발(開發)하고, 우리의 처지(處地)를 약진(躍進)의 발판으로 삼아, 창조(創造)의 힘과 개척(開拓)의 정신(精神)을 기른다. 공익(公益)과 질서(秩序)를 앞세우며 능률(能率)과 실질(實質)을 숭상(崇尙)하고, 경애(敬愛)와 신의(信義)에 뿌리박은 상부상조(相扶相助)의 전통(傳統)을 이어받아, 명랑(明朗)하고 따뜻한 협동(協同) 정신(精神)을 북돋운다.
우리의 창의(創意)와 협력(協力)을 바탕으로 나라가 발전(發展)하며, 나라의 융성(隆盛)이 나의 발전(發展)의 근본(根本)임을 깨달아, 자유(自由)와 권리(權利)에 따르는 책임(責任)과 의무(義務)를 다하며, 스스로 국가(國家) 건설(建設)에 참여(參與)하고 봉사(奉仕)하는 국민(國民) 정신(精神)을 드높인다.
반공(反共) 민주(民主) 정신(精神)에 투철(透徹)한 애국(愛國) 애족(愛族)이 우리의 삶의 길이며, 자유(自由) 세계(世界)의 이상(理想)을 실현(實現)하는 기반(基盤)이다. 길이 후손(後孫)에 물려줄 영광(榮光)된 통일(統一) 조국(祖國)의 앞날을 내다보며, 신념(信念)과 긍지(矜持)를 지닌 근면(勤勉)한 국민(國民)으로서, 민족(民族)의 슬기를 모아 줄기찬 노력(努力)으로, 새 역사(歷史)를 창조(創造)하자.
1968년 12월 5일
당시 석학들의 뜻깊은 고심의 탁마로 금과옥조같이 마련한 내용의 교육헌장을 개인의 한 사람이 밉다고 팽개쳐진 수모 겪으며 44년이 되는 해로군요.
국민교육헌장의 내용이 잘못되었다면 폐기해도 되겠지만,
교육헌장의 내용이 국민들의 마음에 끼친 영향을 생각하면 오늘의 풍요로움과 연관이 없다고 하기엔 자기 양심을 속이는 마음이 됩니다.
이 헌장의 어디 한 구절도 천시 당하거나 외면할 곳은 없습니다.
모든 국민이 교육헌장 내용을 지켜나가면 세계 1등 국민이 되는 일은 명약관화합니다.
시어미가 밉다고 어린 강아지를 발로 차거나 장독을 깨는 버릇은 고쳐야합니다.
문화유산 중에도 값진 문화유산입니다. 수백 년이 지나 보세요 그 때도 이런
잘못된 대우를 받을 국민교육헌장인가를 다시 한 번 생각합시다.
박태준씨가 돌아가신 후에 위대한 인물이었음을 알았던 일처럼 시간이 지나면 국민교육헌장의 유산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국민교육헌장 반포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idam1960&logNo=140202161817
이원구(李元龜, 1758∼1828) 선생의 자는 한서(漢瑞), 호는 일수(一수), 본관은 성산(星山)이다. 일수 이원구 선생은 조선후기 실학자로서 한번도 정계에 진출하지 않고 산림에 묻혀 산 처사형 실학자이었기에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다.
선생이 저술한 『심성록(心性錄)』은 조선 순조 15년(1815)에 완성되었으며, 『심성록』은 인간의 심성(心性)에 대하여 논술한 책으로 인륜(人倫)과 산업(産業)을 9도(道)·6사(事)의 역리(易理)로 풀이한 책으로 인간이 참다운 자유와 균형된 삶을 누리기 위해서 인간 자신이 도덕의 속박에서 벗어나야 함은 물론 물질적 얽매임에서도 자유로워야 한다는 뜻으로 인륜과 산업의 불가리성(不可離性)을 확고히 한 실학 사상가이다.
선생의 본향은 경북 칠곡면 약목으로 합천군 쌍책면 상신리 도방마을로 이사와 살았으며 직접 거문고를 만들어 연주하고 지냈다. 선생의 묘소는 쌍책면 건태리에 있으며 저서로는 『심성록도식전(心性綠圖式全)』, 『심성록건(心性綠乾)』, 『심성록곤(心性綠坤)』, 『수제일조(修齊一助)』, 『이기비은곤(理氣費隱坤)』, 『일용요결(日用要訣)』, 『일수이공묘갈명(一수李公墓碣銘)』, 『일수이선생실기초(一수李先生實記草)』, 『구륙도설(九六圖說)』, 『구륙도병풍(九六道屛風)』 등이 있다.
일수(一수) 이원구(李元龜, 1758∼1828)의 자는 한서(漢瑞), 본관은 성산(星山)이며 일수가 그 호이다. 일수는 평생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만 몰두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학설인 인륜구도(人倫九道)와 산업육사(産業六事)를 뜻하는 구륙도설(九六道說)을 완성하였다. 성주(星州)에 사는 그의 벗 석연(石淵) 이우세(李禹世)는 그의 ‘구륙도설(九六道說)’에 대하여 “수제치평(修齊治平)과 백천만(百千萬) 가지 일이 모두 이 구륙도설(九六道說)에 포괄되지 않음이 없으니, 이것은 일이관지(一以貫之)의 이치를 터득하여 오랫동안 공부를 쌓은 가운데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겠는가?”(「송이일수서(送李一수序)」라고 하며 그의 학문을 깊이 인정하였다.
이 자료들은 모두 아직 200년도 되지 않았으나, ‘인륜구도(人倫九道)와 산업육사(産業六事)’로 요약되는 그의 학문은 조선 유학사상 그 유래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독특함을 이루고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이런 저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유행하는 졸혼이란?? (0) | 2016.12.21 |
---|---|
[스크랩] 월남 패망의 교훈…(잊지 맙시다) (0) | 2016.12.14 |
[스크랩] 배워두면 유용한 주제별 고사성어 (0) | 2016.07.26 |
[스크랩] 한글 영문표기법 - 한글로마자 표기법 바로알기 (0) | 2016.06.21 |
[스크랩] 설날 세배하기 (0) | 2014.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