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진공 : 진공 (Vacuum)이란 ? 진공 (Vacuum)이란 ? 우리가 진공을 말할 때 단지 공기가 없는 공간이라고 생각된다. 진공이라는 것에 대하여 알아보지 않은 상태라면 누구나 단편적으로 이렇게 생각할거라고 본다. 하지만 진공이라는 것은 단지 공기가 없다고 하기에는 복잡한 내용을 가지고 있다. 우선 진공이라는 말은 라틴어의 ‘Vacua`라는 말에서 유래하였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해면상의 압력은 1기압(760Torr)인 상태인데 이때 공기 1몰(22.4L)안에는 6☓10²³개의 분자가 존재한다. 그런데 만약에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 경우, 그 공간에 있는 분자 수가 전혀 문제되지 않는 정도라면 그 공간은 진공상태로 생각해도 좋다. 실제로 진공은 단지 부분적으로 비어있게 되는 공간을 의미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진공이란, 압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표준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의 특정 공간 상태를 말한다. 하지만 기준이 없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압력부터가 진공의 시작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진공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을 하기위해 평균 자유행정에 대하여 알아보자. 진공상태에서 압력이 낮을수록 기체 입자사이의 공간은 늘어나고 입자들간의 충돌횟수는 줄어들게 된다. 평균 자유행정(Mean Free Path)이란 한 입자가 다른 입자와 충돌하기 전까지 이동한 평균거리를 의미한다. 한국공업규격(KS)에서는 진공도의 단위로 Torr와 Pa를 규정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Torr가 널리 사용된다. Torr는 mmHg 와 동일한 단위이며, cmHg은 mm를 cm로 표시한 것이다. 그러나 독일공업규격(DIN)에서는 mbar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대기압을 C,G,S단위 표시인 dyne으로나타내는 것으로, 1mbar는 1cm에 대하여 1000dyne의 힘이 작용하는 압력을 나타낸다. 2. 진공의 구분 1) 영국방식 : 760~25torr(저진공), 1~torr(중, 중 고진공), ~torr(고진공), ~torr(초고진공) 2) 미국방식 : 760~25torr(저진공), 25~torr(중진공), ~torr(고진공), ~torr(초고진공) (F: 힘, A: 단위 면적의 입자의 수) * 1 atm (단위 면적당 수은기둥 760㎜의 무게에 해당) = 0.76 meters of mercury(760㎜Hg) = 0.76× { : 수은의 밀도 (1.3595×Kg/㎥), g: 중력가속도 (9.8m/)} = 1.0132× Kg/m (N= ) = 1.0132× () = 101325 Pa * = = 760㎜Hg (0℃, 해면) = 760 torr = 29.9213 in Hg (at 32°F) = 1013 mbar (1.013 bar) = 101325 Pa = 1013 hPa = 101.3 kPa |
출처 : 진공로.진공소결로.진공브레이징로
글쓴이 : 주식회사 SVF 원글보기
메모 :
'세정기계 > 기계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닝파이프 (0) | 2018.08.07 |
---|---|
[스크랩] 진공의 분류 (0) | 2018.06.04 |
[스크랩] 진공도의 단위 (0) | 2018.06.04 |
알루미늄 비중 (0) | 2018.02.06 |
알곤 용접 (0) | 2017.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