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세상 보기 ―

[스크랩] 김명화의 천상의 사랑 개인전 온라인 도록입니다.

by 감문국 2016. 6. 11.

 

 

   2007 .5-1(화) -5.14 까지 광화문(경복궁역) 서울지방 경찰청 갤러리 초대 개인전에 초대합니다.

 

누 드 ( Nude ) 와  천 상 (天 象) 의  사 랑

 

-여류 서양화가 김명화 첫번째 개인전에 부처-

 

   여류 서양화가 김명화(金明花)와의 인연은 10년 전 서울 은평구에 소재한 화실에서 자연스럽게 인사를 나누면서 계속적인 자기 작업 과정에 대해 스스럼없이 의견을 교환 하게 되면서 부터이다.

그는 부산에서 태어나 한창 감정이 예민한 여고 시절에 주변환경과 당시에 보고 자라면서 느낀 미적체험을 접하면서 청운의 꿈을 안고 서울에 올라와 대학을 진학하여 서양화 전공을 택하게 된다.

 이번 봄에 김명화 작업실을 찾아 그가 제작한 작업현장의 작품들을 보니 그가 추구하는 독특한

작업방향과 엄청난 작업량을 보고 필자 나름대로의 느낌은 어려운 역경과 환경속에서도 그의 고뇌의 찬 작가의 풍부한 감성이 쏟아낸 산물 이라는 생각이 나의 뇌리를 스치는 듯하다.

이러한 작품들을 접하면서 자기 스스로의 삶의 흔적을 발견하여 한 작가의 예술세계를  재조명(再照明) 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됨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첫번째로 작품을 선보이게 되는 김명화의 작품 성향과 그 속에 내제된 요체미(要諦美)를 필자 나름대로 도출해보면 대체로 다음과 요약되어 진다.

 1)그의 작품 소재의 화두(話頭 )가 누드와 천상의 사랑  시리즈(series)를 보면 거의 대부분 내용이 젊은 여인누드와 연관된 대상물을 접목 시킨 면이 특징적으로 보여 진다. 따라서 그가 제작한 작품의 명제를 열거하여 그 느낌의 내용적인 면을 분석해 보면 아래와 같이 정리 된다.

1.천상의 사랑-불교적인 설화를 차용시켜 양귀비(楊貴妃 )꽃을 연결 고리로 하여 두사람이 재회 하려는 심경 속에 동경(憧憬) 하는 숭고한 사랑을 승화시켜 표현함.

2.열정- 순수한 젊은 남녀의 사랑을 승화 시켜서 표현함.

3.바다속의 누드-망망한 바다를 남성으로 대치시켜 한여성의 미래적인 꿈과 이상향을 추구하는 내용 을 유도하여 연상적으로 표현함.

4.말과 누드-전상의 사랑으로 가상적인 사랑의 대상이 없이는 사랑을 실천 할 수 없다는  내용을 조형화함.여기서 누드는 자신의 형상을 나타낸 작가의 이미지로 해석됨

5.나비와 누드-나비의 형상을 남자에 비유(比喩 )시켜 사랑하는 사람으로 비유함.

6.사랑의 결별(訣別)-평탄치 못햇던 시절의 갈등과 고독감속에 현실의 외로움을 뜻하는 엘리지(elegy)적인 느낌을 나타냄.

7.파도와 누드-물결치는 파도를 사랑하는 상대적인 남성을 의인화 시켜 한여인의 애뜻한 사랑을 전달하려는 작가의 의지를 표현하고 창의적으로 도출함.

8.그리움과 천상의 날개

9.사랑의 날개를 타고

10.대자연속의 누드-누드의 움직임을 자기 자신의 몸부림으로 연계시켜 희망,기쁨,행복을 한 동세(動勢)의 움직의 울림이 메아리 치도록 한 작가의 강한 호소력을 표현함.

11.사랑의 유체 이탈

12.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이러한 작품의 명제 내용은 천체의 형상(astronmical phenomenon)을 뜻하는 것으로 곧, 해, 달, 별이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하는것으로 해석되어진다. 그가 사랑하는 사람을 여러 대상물로 비유, 연상시켜 작가의 심미안을 통해 다양한 형상의 누드,또는 고전 한복에서 현대적인 한복을 화면에 도출 하여 리얼리티(reality)하게 그만이 지닌 조형언어로 표현한 것이  매우 독특하게 보여진다.

이러한 작가의 표현은 그가 10여년간의 긴 변신추구(變身追求 )를 통해  창출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러한 작품세계는 여류 서양화가  김명화의 작가 정신과 작가의식의 요체(要諦 )를 뜻하는 것으로서 그 만이 지닌 [예술의 숭고미(崇高美)] 를 향한 뜨거운 열정의 산물로 보아진다.

2) 기법적인 측면은 안료에서 나오는 물성(物性) 그 자체위에 원색보다 혼색(混色) 또는 중간톤(tone)을  중시하는 김명화의 성격과도 깊은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으리라 여겨진다.

색이 주는 감성은 누구에게나 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겠지만 그가 취사선택(取捨選擇)한 안료, 물감과  붓의 터치(thoch)에서 화면 분위기는 한층 더 환상(幻想), 공상(空相) 그리고 신비로움이 깃들어져 시공(時空)을 뛰어 넘는 미지(未知)의세계를 현실적으로 환원(還元)하기 위한 색감의 선택, 그리고 작가적  취향도 깊은 연관이 있으리라고 사료 되어진다.

3) 그가 작가생활에서 자기 자신과의 싸움,그리고 혼자 외롭게 생활 하면서 자지러지게 실망하던 때에 그의 원초적인 [창작열정]과[작가의지]에 의해 역경을 극복해 가면서, 자기만의 예술세계를 구축하게 된 것은 [미래지향적인 비전(vision)] 제시를 위한 집중 탐구와 모색이 뒤 따랐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또한 현실을 뛰어넘어 자기마음에 고이 간직된 진솔한 심경(心境)을 사랑하는 사람과 교류하고 싶은 의욕이 영적(靈的 : inspirition) 세계에서  창작의 열기를 불태우고 싶었기 때문이리라.

특히 우연(優然)의 무의식적인 정신세계를 통해 어느 낯선 남자와의 사랑이 싹트기 시작 하면서 현실과 미래의 영상(影像)을 찾기위한 그가 열반의 세계를 그리워 하는 마음으로 제작한 작품전 이기에 그 의미는 사뭇 크다고 할수 있다.

또한, 작가가 동경하는 이상향을 향해 [사랑의 정점은 없으나 숭고한 사랑의 시도]를 하는 과정에서 그의 뚜렷한 정신세계의 표현이 순수한 작품으로 승화된 이번 전시회를 주목하게 된다.

따라서 그의 첫번째 작품전을 통해 화면에 등장하는 [누드와 천상의 사랑] 시리즈에서의 여류화가 김명화의 작가적인 역량과 기량이 충분히 발휘 되고 있음을 거듭 확인하게 된다. 계속적인 정진(精進)과 추구하는 작가의 심미안(心美眼 )의 영역과 범주(範疇)가 극대화 되리라 기대하며, 심으로 그의 첫번째 작품전을 마음속으로 깊이 축원하는 바이다.

 

                                                                    2007. 5.1 선학균/관동대 교수,화가,미술사

     

거북이 같은 내 삶의 흔적들

많은 작가들의 개인전을 바라 볼 때마다 진심어린 격려와 찬사를 보내면서도

 나의 세계를 그리는 것만으로도 행복해하며

그림과 살아 가는 것도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오랜 세월이 지나서도 외면해 왔던 개인전

이젠 그만 옷을 벗어 버리려는 생각에 나의 예술세계의 가슴을 펼쳐 봅니다.

 

삶에 대한 아픔의 연속이 작품 속에 뭍어 나올거라는 두려움도 이젠 벗어 버리고 

동호인들과 함께한 미술가로서 행복으로 가는 길..

나의 작품을 함께하면서  행복으로 여기며 지내온 나날들.

 

상처 받은 많은 사람들이 아름답고  진실한 사랑을 그리워 하지 않는가..

모든 아픈 이들이 행복해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진실하고 열정적으로 살아 가며 그 열정을 화폭에 담아 보았습니다.

 

이별 뒤의 아픔이라는 흔적이 남을 지라도

내 사랑과 삶을 불태워 환상으로 남을 이상적인 꿈과 현실을 이루고자

몰입해  꿈속으로 들어 갔으며  이별이 없는 천상의 사랑을 그리게 되었습니다. 

 

 안개 같은 회색 빛  세상에 무거운 갑옷 같은 내 옷을 벗어 버렸고,

천상의 날개를 펼치며 나는 자유로웠으며

아름다움에 도취되는 꿈을 꾸며

 삶의 변화 시켜준 천상의 사랑은 영원 할 것이며

 열정과 환상의 사랑에 고마움을 보냅니다.

행복합니다... 

 

                                                    2007.5.1   서양화가 김명화

 

                             누드와 천상의 사랑  시리즈(series)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천상의 사랑   117 x 91cm  oil on canvas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열정   91x 65cm  oil on canvas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바다속의 누드   117 x 91cm  oil on canvas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백마와 누드   117 x 91cm  oil on canvas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코브라와 누드   117 x 91cm  oil on canvas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나비와 누드  117 x 91cm  oil on canvas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랑의 결별  117 x 91cm  oil on canvas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파도와 누드   117 x 91cm  oil on canvas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천상의 날개   117 x 91cm  oil on canvas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랑의 날개를 타고   117 x 91cm oil on canvas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랑의 유체 이탈   117 x 91cm  oil on canvas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추억속으로 117x 91cm  oil on canvas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김명화 프로필                                                            현

   . 1993 홍익대학 미술과 수료                                          . 대구예술대학 /겸임교수  
   . 1995 백석대학교 미술과졸업                                        . 사단법인 환경미술협회/본부이사

     개인전                                                         . 사단법인 전통미술협회/중앙이사
   . 서울지방 경찰청 겔러리 초대작가 개인전                      . 경향미술대전 /경향신문사주최/운영위원

     국제전및 단체전                                             . 회화대상전/미술평론신문사/운영위원회

   . 1983 부산현대미술 초대전(현대겔러리/부산)                . 국제 홍콩밀리니움 초대전/심사위원

   . 1995 밀레니움 초대작가전 (서울역 상설겔러/서울)        . 사단법인 남.북 문화예술 여성위원장 

   . 1996 대구문화원 밀리니움 초대작가 100인전                 . 대한민국 현대여성미술대전/심사위원

   . 1997 그림사랑회원전( 애경백화점 미술겔러리/서울)      . 전국 환경공모대전/심사위원

   . 1998 한.중문화교류100인전.(세종문화회관/서울)          . 사단법인 전국 교원미술대전/심사위원
   . 1999 겔러리회화제 초대작가전 (조형겔러리/서울)         . 사단법인 창작미술대전/ 심사위원
   . 1999 이재형국회의원 추모초대전(세종문화회관)            . 전국 학생미술대전/심사위원

                                                                                       . 화계초등학교 미술시범학교 미술강사
   . 1999 현대미술협회 국제초대작가전(중국)                      . 사단법인 창작미술대전/서양화협의회장

                                                                                       . 열린미술(지도자과정)교육원장 

                                                                        서울시 종로구 동숭동 201-47 대원빌딩

                                                                                          교육원 전화:(02)741-8881 

                                                                                          HP:011-9882-8785 

                                                                                          카페 www.daum.net/openartissue
                                                                                          E-mail : kmhwa60@hanmail

   . 1999 한.중 중견작가전(현대미술관/서울) 

   . 1999 대한민국 서화예술대전/초대작(서울국제프라자/서울) 
   . 1999 대한민국 서화예술대전/초대작 (독립기념관/천안)

   . 1999 대한민국 서화예술대전/초대작(서울국제프라자서울) 
   . 1999 대한민국 서화예술대전/초대작 (독립기념관/천안) 

   . 1999 제4회 예.아.이.전 THE 4TH EXHIBITION BY YE-AH-I 초대출품(서경겔러리/서울)
   . 2000 국제초대작가전 (홍익대학교 디자인 프라자/서울) 
   . 2000 국제미술대전 (홍익대학교 디자인프라자/서울)  
   . 2000 한국미술대전 (홍익대학교 디자인프라자/서울)

   . 2002 국제미술초대작가전/ 예술문화상 (국제 디자인프라자/서울)

   . 2003 대한민국 교원미술대전 /초대작(홍대 디자인프라자)
   . 2003 대한민국 서화예술대전/초대작(독립기념관/천안) 
   . 2004 국제미술대전/한국미술문화상 (세종문화회관) 
   . 2003 제26회 국제 미술 서예 초대작가전 (홍익대학교 디자인프라자) 
   . 2004 제27회 창작미술대전 초대작(독립기념관)

   . 2005 대한민국 창작미술대전 /초대작출품 (국제 디자인프라자)
   . 2005 국제홍콩밀리니움 초대작출품

   . 2005 제21회  대한민국 전통미술대전/초대출품(국제디자인프라자/서울)

   . 2006 제26회 창작미술초대전/초대작(국제디자인프라자/서울)

   . 2006 제22회 대한민국 전통미술대전/초대작(국제디자인프라자/서울)

   . 2007 행운의 정해년 70만원전 경향 specil preview (경향겔러리/서울)

   . 2007 한국미술연합회 /found exhibition (인사 아트프라자/서울)

   . 2007  제5회 대한민국 녹색미술회화제(인사아트프라자/서울)

   . 2007 카르포스 동문전 초대출품/부산 문화원

   . 2006 서울지방 검찰청/초대작가전/서울지방경찰청/초대전

   . 2007 서울지방검찰청 /서울지방경찰청/겔러리 100인 초대작가전

   . 2007 작은그림미술제/운영위원/초대출품(경향겔러리/서울)

   수상경력 
   . 1996 대한민국 현대미술대전/ 최우수상

   . 1997~1999 대한민국 현대미술대전/특선/입상(현대미술관/서울)

   . 1999~2000 대한민국창작미술대전/우수1.특선3. 50호.50호(세종문회회관)

   . 2001 제1회 대한민국 여성미술대전/특선(예술의전당/서울)

   . 2001 제2회 한국미술대전/특선(서울시립미술관/서울)

   . 2002 대한민국여성미술대전/입선(예술의전당/서울)

   . 2002 국제미술초대작가상/교육공로상(국제디자인프라자/서울)

   . 2002 대한민국회화대전/.특선.입상.100호.50호 (현대미술관)

   . 2003 국제미술초대작가전/예술문화상(국제디자인프라자/서울)

   . 2003 사단법인 한국 서화협회 창작미술대전/초대작가 인증
   . 2003 한국서화협회 서양화부분공적탑 수상(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프라자/서울)
  작품소장
   . 1999 고기운 선생님(불교)서적  (불화 컷 제작) 
   . 1998 대구문화회관 겔러리오픈 밀리니움100인초대전 12점 (대구문화겔러리소장/대구)
   . 1983~1993  불교문화/불화제작 관음보살상 1982~1989 / 유화 30호 50점(사나사/부산)

   . 2002 독립투사 신숙선생님 영정 제작 100호(독립기념관 소장/천안)

   . 2003 덕성여자대학교/초대작품/덕성여자대학교 소장(덕성여대/서울)
        
                                   2007.5.1  서양화가 김명화
                     

                                                                                           

출처 : 가로수공원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